A. B. Simpson의 성령론과 성결교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18:20
본문
Download : A B Simpson의 성령론과 성결교회.hwp
근대 개혁파 성령운동
미국에서는 남북전쟁(1861-65) 전, 특히 1840년경에 이르러서 완전주의(perfectionism)가 사회적, 지성적 그리고 종교적 삶에 있어서 가장 중심 되는 주제가 되어갔다. 미국의 남북전쟁 전후의 사회 變化와 부흥운동과의 관계성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Timothy L. Smith, Revivalism and Social Reform(New York, 1957)을 참조하라.
그러자 미국 개혁파 전통에서 새로운 형태의 완전주의가 Charles G. Finney와 Asa Mahan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그와 그의 오벌린 대학(Oberlin College) 동료들은 이른바 ‘오벌린 완전주의’(Oberlin Perfectionism)라고 불리는 가르침을 전하기 스타트했다. 피니는 개인적인 특별한 체험을 거친지 몇 년 후, 두 번째 축복을 체험하는 일이 이 세상에서 가능하다고 가르치기 스타트했다. Vinson Synan, The Holiness-Pentecostal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1971), 30.
그는 개혁주의 전통의 긍정적인 측면, 즉 믿음으로 …(To be continued )
si322
순서






si322 , A. B. Simpson의 성령론과 성결교회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A B Simpson의 성령론과 성결교회.hwp( 21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A. B. Simpson의 성령론과 성결교회
설명
다. 오벌린 완전주의에 대한 훌륭한 introduction를 위해서는 Timothy L. Smith, `The Doctrine of the Sanctifying Spirit: Charles Finney`s Synthesis of Wesleyan and Covenant Theology`, Wesleyan Theological Journal(Spring, 1974), 92-113을 보라.
1857-58년의 부흥운동 기간에는 장로교 목회자인 William E. Boardman에 의해 「더 높은 그리스도인의 삶」(The Higher Christian Life)이 출판되었는데, 이 책은 특히 Methodists 전통 이외의 사람들에게 성결의 은혜를 해석할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