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ify.kr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 verify4 | verify.kr report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 verify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verify4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3:13

본문




Download :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hwp




인문주의적 교육을 지향하는 교육자는 학교교육과 마찬가지로 지식의 전달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definition 하며, 행동주의에서는 관리자를, 진보주의에서는 학습에 대한 조직자-촉진자를 자임한다.
이런 점에서, 사회교육자의 역할은 사회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표2]에 보다 잘 드러나고 있다고 하겠다.up평생학습패러다임 ,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사범교육레포트 ,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에 대상으로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 이는,…(skip)
up평생학습패러다임

평생학습%20패러다임으로서%20교육자%20역할전환과%20모순점_hwp_01.gif 평생학습%20패러다임으로서%20교육자%20역할전환과%20모순점_hwp_02.gif 평생학습%20패러다임으로서%20교육자%20역할전환과%20모순점_hwp_03.gif 평생학습%20패러다임으로서%20교육자%20역할전환과%20모순점_hwp_04.gif 평생학습%20패러다임으로서%20교육자%20역할전환과%20모순점_hwp_05.gif 평생학습%20패러다임으로서%20교육자%20역할전환과%20모순점_hwp_06.gif




Download :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hwp( 96 )




평생학습,패러다임으로서,교육자,역할전환과,모순점,사범교육,레포트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설명

순서
다. 인본주의에서는 학습동반자로서 교육자가 등장하며, 급진주의에서는 사회의 변화를 위한 의식화를 돕는 성찰적 실행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David, 2000). 즉, 이들의 논의는 사회교육의 내적인 역동구조를 포착하여, 그 안에 내재된 철학적 입장을 정리(arrangement)하였다기 보다는, 기존의 교육철학이 적용될 수 있는 바를 사회교육에서 찾아내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이렇게 적용할 경우, 사회교육의 경우, 장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백화점식 교육제공 이상으로 나아가기 어렵게 된다 논의는 종결되고 사실상 ‘철학’이 상실되는 것이다.
물론, [표 1]과 같은 방식의, ‘교육철학에 기초한 교육자의 역할논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엘리아스 등은 학교교육자의 유형구분과 마찬가지로, 사회교육자가 어떤 철학을 가지고 교육을 바라보는가에 따라 差別(차별) 적인 교육자 상을 가지게 됨을 정리(arrangement)한다(Elias & Merriam, 1995). 그러나 문제는, 이런 구분이 학교교육에서의 논의를 차용하였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학교교육과 유사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사가 하는 일을 유목화하여 제시하는 것으로는 교사의 이상적 상(像)을 그려본다거나, 그에 적합한 역할이 전향적으로 도출되기 어렵다.







레포트/사범교육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1. 문제제기

2. 기존의 사회교육자 논의 : 무엇이 빠져있는가?
1) 전통적 교육자의 역할 규정 방식
2) 사회교육자 역할에 대한 논의의 흐름

3.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 교육자의 위상
1) 교육자론의 정당성 : 학습자에 대한 오해의 정정
2)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고유성
3) 사회교육자 다시 보기 : 위상과 역할

4. 결론

reference



위에서 나열된 역할들은 한 사람의 교육자가 담당해야 할 역할이라기보다는 학습자의 학습을 돕기 위한 모든 영역을 정리(arrangement)한 것이라고 볼 수 있따 이는 사회교육에서의 교육자 상에 대한 논의(Knowles, 1983; Merriam, 1984; Schuttenberg & Tracey, 1987; Hall, 1982)가 상당히 진전된 것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교교사상에 대한 논의에 비해 덜 진전되어 있음을 말해 준다.
전체 6,72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verify.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